Logo
Junwoo
2024-08-27 12:38:59

비하인드
모든 TTS 엔진에서 한국어를 제대로 읽게하기 위한 UX 디테일

비디오스튜에는 다양한 AI 보이스들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Google Wavenet, Amazon Polly, KT AI Voice, Naver Clova, Azure, ElevenLabs까지…

그렇다보니 자연스레 파생되는 이슈는 다들 학습된 모델이 달라서 똑같은 문장이 주어져도 읽는 방식이 미묘하게 다르다는 것입니다. 특히 단위를 읽을 때 그 차이가 두드러졌습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 TTS 생성 시 한국어로 단위를 읽을 때 제대로 읽기 위해 고려했던 점들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측정 단위 제대로 읽게 하기

TTS 엔진들을 다양하게 사용하다보니, 예를 들어 "100kg"이라는 표현을 읽을 때도 각 엔진들은 제각각으로 읽는 이슈가 있었습니다. "백 케이쥐"라고 읽는 엔진도 있고, "백 크흐..."라고 말끝을 흐리는 AI도 있었죠. (AI도 당황하면 말끝을 흐리나…)

물론 "백 킬로그램"이라고 정확하게 읽는 엔진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단위들을 라이브러리화해서 전처리를 하는 프로세스를 개발했습니다. 모든 엔진들이 동일하게 읽도록 하기 위함이었죠.

  • 길이/거리: m, cm, km, mm, nm
  • 부피: l, ml, kl
  • 무게/질량: g, kg, mg
  • 전기 관련: V, MV, mV, A, MA, mA, Ω, MΩ, mΩ, VA, V/cell, V/m, Var
  • 데이터 용량: B, KB, MB, GB, TB
  • 기타 물리량: mol, N, N/C, rad, Wb
  • 시간: s, sec
  • 전력: W, kW, MW, kVA, mVA
  • 주파수: Hz, kHz, MHz, GHz
  • 온도: °C, ℃
  • 각도: °
  • 조도: lx
  • 백분율: %


숫자 제대로 읽게 하기

이렇게 서비스를 운영하다보니, 생각치 못한 이슈에 또 봉착하게 되었습니다. (한국어는 정말 매력덩어리..)

한국어에서는 숫자를 읽는 방식이 두 가지라는 점이죠. 우리는 본능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잘 느끼지 못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간을 말할 때 "10시 10분"은 "열 시 십 분"으로 읽죠. 왜죠…?

그리고 일반적인 숫자는 "일, 이, 삼"과 같은 한자어로 읽지만, 뒤에 수량을 나타내는 단위(수량사라고 해요. 저도 처음 들어봤어요…)가 붙으면 "한 개, 두 개, 세 개"로 읽게 됩니다. 공식적으로 수치를 재는 단위는 한자어를 쓰고요. (예: 10cm = “십 센치미터”)

자, 제가 숫자를 하나 드려볼께요. “90개”. 어떻게 읽으시나요?

원칙적으로는 90개까지는 “아흔 개”라고 읽는 것이 맞습니다. 아마 “구십 개”라고 읽으신 분들도 있으실꺼에요. 숫자가 커질 수록 우리가 일반적으로 더 편한 방식이 있기 마련이죠.

작은 숫자로 생각해볼까요? “9개”. 네, 이건 모두가 다 “아홉 개”라고 읽으셨을 것입니다.

이 원칙에 따라서 1~99까지는 고유한글로 읽는 방식으로 전처리 프로세스를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는 말그대로 원칙적인 것이고, 고객들의 피드백에 따라 이 기준을 변경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습니다. 40개라면 “마흔 개”보다 “사십 개”가 더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질 수 있으니까요.

어쨋든 일관된 사용경험을 위해 “하나, 둘, 셋”의 고유한글에 대응되는 단위 라이브러리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 일반적인 수량: 개, 명
  • 동물: 마리
  • 식물: 그루, 송이
  • 의류/신발: 켤레, 벌
  • 기계/차량: 대
  • 용기: 병, 잔, 접시, 그릇, 가마
  • 긴 물건: 자루, 줄
  • 평평한 물건: 장
  • 책/문서: 권, 문장, 글자
  • 음식: 조각, 접시
  • 묶음 단위: 다발, 묶음, 뭉치, 박스
  • 순서: 번
  • 작은 물건: 톨
  • 건물: 채
  • 시간: 시
  • 나이: 살
  • 무게: 근, 돈
  • 종류: 가지
  • 기타: 마디, 송이

이 라이브러리는 TTS 서비스를 구현하려는 분들이라면 참고해주세요. 단, 지금도 끊임없이 고객 피드백을 통해 생각치 못한 단위들이 발견되고 있어서 완전한 버전은 아님을 말씀드립니다.

UX의 디테일 = SaaS의 성공

수량사라는 처음 듣는 표현을 접하면서, 한국에서 동영상 편집 SaaS 솔루션을 서비스하면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는데, 또 한번 느끼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정말이지 한국어는 변화무쌍하고 대단한 언어입니다…

동시에 영어권 서비스가 부럽다는 생각도 들었지만, 그 쪽은 또 그 쪽 나름대로의 고충이 있겠죠.

물론 비디오스튜에는 [텍스트 수동 지정]이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화면에 보이는 것과 상관없이 TTS를 생성하는 방법이죠.

< 화면에 보여지는 자막과 상관없이 TTS에서 읽을 소리를 설정하기 >

이 방법을 통해서 원하는대로, 소리나는대로 적어주면 되니까 TTS가 더 자연스럽게 발음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고 잘못 읽는 단위를 사용자가 직접 수정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저희가 이렇게 디테일에 집중하는 이유는, 이런 작은 차이들이 서비스의 성장을 결정짓는다는 확신 때문입니다.

사용자는 숫자 표현이 포함된 문장을 입력하는 순간 어떻게 읽겠다라는 생각이 있습니다. 일단 그대로 생성되지 않는 다면 일차적으로 문제일 것이고요. 그걸 추가 편집을 하지 않아도 생각했던 그대로의 결과물이 가장 빠르게 나오도록 하는 것이 저희가 지향하는 UX의 종착점입니다.

앞으로도 계속 이렇게 저희가 하는 UX적인 고민들을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모든 서비스들이 상향평준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는 이러한 디테일에 대한 고민이 서비스의 명암을 가른다고 믿으니까요.

게시물로 이동
🎓 소규모 커머스 기업들이 당장 시도해볼 수 있는 5가지 인스타그램 릴스 유형 인스타그램 릴스는 커머스 마케터들에게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 마케팅 채널로 자리잡았습니다. 실제로 2023년 2분기 메타의 발표에 따르면 전 세계 인스타그램 릴스의 일일 시청 횟수는 2,000억 회에 달한다고 하죠.릴스는 짧고 중독성 있는 음악과 매력적인 영상으로 시청자의 눈과 귀를 사...
소규모 커머스 기업들이 당장 시도해볼 수 있는 5가지 인스타그램 릴스 유형
Junwoo 2025-03-26
🗞️ [Update] 더 똑똑해진 위자드 모드 (Text-to-Video) 최근 위자드 모드 사용 흐름 개선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위자드 모드에 대한 개발 고도화를 진행 중에 있는데요.이제 템플릿을 고르고 영상 편집을 시작 할 때, 타이틀 슬라이드부터 인트로, 아웃트로 슬라이드까지 한번에 모든 내용이 완성되도록 개선되었습니다.여러분이 입력하거나 생성한 스크립트에...
[Update] 더 똑똑해진 위자드 모드 (Text-to-Video)
Junwoo 2025-03-21
🤔 비디오스튜로 광고 영상 만들기 (비하인드) 비디오스튜 글로벌 채널에 게시하기 위한 영어 버전 광고 영상을 직접 만든 후기를 공유하고자 합니다.튜토리얼이라고 하기 보다는 작업 과정에서의 팁들을 공유하기 위한 글인만큼 비하인드 섹션에 게시합니다.완성된 광고 동영상사용한 솔루션들메인 영상 편집: 비디오스튜화면 녹화: ScreenFlo...
비디오스튜로 광고 영상 만들기 (비하인드)
Junwoo 2025-03-12
🎓 AI 동영상 편집기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요소 (2025) 최근 영상 편집 업계에서는 AI 동영상 편집기가 큰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클릭 몇 번으로 자동으로 멋진 영상을 완성해준다는 자동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들도 쏟아져 나오고 있죠.&lt; 구글 트렌드의 'AI video editor 검색 추이 &gt;구글 트렌드에서 'AI 동영상 편집기’...
AI 동영상 편집기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요소 (2025)
Junwoo 2025-03-05
📣 텍스트의 한계를 뛰어넘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영상 콘텐츠 혁신 도전기 한국언론진흥재단(이하 KPF)은 다양한 미디어 채널을 통해 국민의 정보복지 향상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는 기관입니다.KPF 사무실을 방문했다가 우연히 복도 벽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서 플레이되던 영상을 보고, 비디오스튜의 향기를 물씬 느끼게 되었는데요.&lt; KPF 사무실에서...
텍스트의 한계를 뛰어넘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영상 콘텐츠 혁신 도전기
Junwoo 2025-02-26
🗞️ [Update] 위자드 모드 사용 흐름 개선 위자드 모드를 통해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레시피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업데이트가 있어 안내드립니다.생성할 프로젝트의 화면 비율을 우선 선택프로젝트의 제목을 입력하고나면 생성할 동영상 프로젝트의 화면비율을 우선 선택하게 됩니다. 세로형, 가로형, 그리고 위자드 모드를 닫고 직접 편...
[Update] 위자드 모드 사용 흐름 개선
Junwoo 2025-02-20
🗞️ [Update] AI 이미지 생성 기능에 Flux 모델 도입 AI Photo 생성 기능에 고퀄리티의 실사 이미지 생성 모델 중 가장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는 Flux 모델이 적용되었습니다.스크립트를 기반으로 자동 생성편집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에 가장 적합한 생성 프롬프트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때문에, 별도로 프롬프트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Update] AI 이미지 생성 기능에 Flux 모델 도입
Junwoo 2025-02-11
🗞️ [Update] 더 스마트해진 이미지/영상 매칭 많은 분들이 요청해주셨던 '스톡 이미지/영상 매칭' 기능이 새롭게 개선되었습니다. 이제 영상 뿐만이 아니라 이미지 라이브러리까지 함께 검색을 하여 가장 어울리는 미디어를 추천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무엇이 달라졌나요?더 정확해진 이미지/영상 매칭위자드 모드를 통해 프로젝트 초안을 생성...
[Update] 더 스마트해진 이미지/영상 매칭
Junwoo 2025-02-07
[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