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pdate] 대본 생성 기능에 GPT-4.1 모델 적용
대본을 생성하는 모든 기능에 GPT-4.1 모델이 적용되었습니다.아이디어로 시작하기나 웹사이트 URL로 시작하기 모드가 성능을 체감해보시기 가장 좋습니다.특히 롱폼 영상 제작 시 글쓰기 스타일을 ‘인사이트 칼럼’으로 선택하시면, 길고 상세한 대본을 생성해주니 꼭 이용해보시길 바랍니다.아...
Junwoo
2025-04-18
🗞️
[Update] 텍스트 등장 타이밍이 더 정교해졌어요
한 슬라이드 내에서 텍스트 스크립트를 입력할 때 줄바꿈을 하면 타이밍에 맞춰 텍스트가 등장하게 되는데요.텍스트 등장효과의 정확도를 대폭 개선했습니다. (일레븐랩스 보이스 우선 적용)이제 기존의 텍스트 애니메이션의 싱크를 수동으로 조절하는 기능은 사용하실 필요 없이, 좀더 속도감있게 숏폼...
Junwoo
2025-04-11
🗞️
[Update] 더 똑똑해진 위자드 모드 (Text-to-Video)
최근 위자드 모드 사용 흐름 개선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위자드 모드에 대한 개발 고도화를 진행 중에 있는데요.이제 템플릿을 고르고 영상 편집을 시작 할 때, 타이틀 슬라이드부터 인트로, 아웃트로 슬라이드까지 한번에 모든 내용이 완성되도록 개선되었습니다.여러분이 입력하거나 생성한 스크립트에...
Junwoo
2025-03-21
🗞️
[Update] 위자드 모드 사용 흐름 개선
위자드 모드를 통해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레시피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업데이트가 있어 안내드립니다.생성할 프로젝트의 화면 비율을 우선 선택프로젝트의 제목을 입력하고나면 생성할 동영상 프로젝트의 화면비율을 우선 선택하게 됩니다. 세로형, 가로형, 그리고 위자드 모드를 닫고 직접 편...
Junwoo
2025-02-20
🗞️
[Update] AI 이미지 생성 기능에 Flux 모델 도입
AI Photo 생성 기능에 고퀄리티의 실사 이미지 생성 모델 중 가장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는 Flux 모델이 적용되었습니다.스크립트를 기반으로 자동 생성편집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에 가장 적합한 생성 프롬프트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때문에, 별도로 프롬프트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Junwoo
2025-02-11
🗞️
[Update] 더 스마트해진 이미지/영상 매칭
많은 분들이 요청해주셨던 '스톡 이미지/영상 매칭' 기능이 새롭게 개선되었습니다. 이제 영상 뿐만이 아니라 이미지 라이브러리까지 함께 검색을 하여 가장 어울리는 미디어를 추천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무엇이 달라졌나요?더 정확해진 이미지/영상 매칭위자드 모드를 통해 프로젝트 초안을 생성...
Junwoo
2025-02-07
🗞️
[Update] 이미지 움직임 효과 (줌 인/아웃 및 패닝)
이미지 재료를 넣었을 때 확대/축소 그리고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패닝 효과가 업데이트되었습니다.이미지 재료 선택 → 켄번 메뉴 선택요리하고 계신 프로젝트의 사이즈 및 삽입하신 이미지 재료의 크기 및 확대 여부에 따라 자동적으로 적절한 켄번 효과가 적용됩니다.물론 원하시는 특정한 효과...
Junwoo
2025-02-03
🗞️
[Update] 알아두면 편리한 기능 업데이트
좀 더 속도감있게 나레이션 사용하기[재생 후 무음시간] 기능을 이용하면 AI보이스가 슬라이드 내의 나레이션을 모두 읽은 후 잠깐 쉬는 시간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이 기능에 마이너스로 시간을 설정하실 수 있도록 기능이 개선되었습니다. 최대 -0.2초까지 설정 가능하며, 무음시간을 마이너스...
Junwoo
2025-01-03
비디오스튜에 움짤 라이브러리가 추가되었습니다.
비디오스튜에 세계 최대 규모의 GIF 라이브러리인 Tenor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Tenor에는 밈(meme)이라 불리우는 움짤부터 움직이는 스티커 이미지를 제공합니다. 전체 볼륨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Tenor에 따르면 하루에 십억개 이상의 GIF 파일이 공유된다고 하니 어마어마한 양이죠.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윌 스미스와 크리스 락의 유혈사태(?)를 풍자한 밈(meme)>
GIF 이미지를 우리는 왜 움짤이라고 부를까요?
이 인터넷 용어의 기원은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인데요. 디지털 카메라 전문 커뮤니티였던 만큼, 게시글에 사진이 없으면 운영자에 의해 글이 삭제되곤 했습니다. 그래서 유저들은 ‘짤림을 방지'하는 목적의 짤방 이미지들을 올리기 시작했죠. 이것이 짤방 문화의 시작입니다. 그러다 GIF 이미지는 ‘움직이는 짤방'이라고 불리며 지금 ‘움짤'이란 단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움짤 이미지와 움직이는 스티커 이미지를 제공합니다!
움짤 이미지는 배경까지 꽉 차있는 일반적인 이미지 형태입니다. 비디오스튜 ‘이미지 > Tenor Gif’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동영상을 제작하시면서 장면 전환이나, 드립이 필요한 순간에 효과음과 함께 쓰시면 좋습니다.
동영상을 제작하실 때는 Giphy 스티커 이미지의 활용도가 아주 높은데요. 비디오스튜 ‘이미지 > Tenor Sticker’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배경이 투명한 움직이는 스티커 이미지들만 있기 때문에 원하는 느낌을 찾아서 동영상 위에 삽입하면 좋습니다. 아래 예시는 ‘사랑'으로 검색했을 때의 예시입니다. 스크롤의 끝이 어딘지는 누구도 알 수 없습니다.
<끝이없는 움짤 스티커 라이브러리>
움짤을 잘 활용하려면 공정 사용(Fair use)을 이해해야 합니다.
우리가 보는 많은 유튜브 채널들은 다양한 움짤들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움짤은 저작권에서 자유로운 걸까요? 혹은 그들은 모두 저작권자에게 일일이 허락을 받았을까요?
결론적으로 아닙니다. 공정 사용(Fair use)이란 개인이 판단할 수 없으며 사법부에서 판단하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누군가가 “나는 공정 이용했다!”라고 주장하더라도 법원에서 그렇게 판단하지 않는다면 저작권을 위반한 것이죠.
유튜브의 공정 사용 관련 가이드를 살펴보면, 원본에 새로운 표현이나 의미를 추가했다면 공정 사용으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말이 좀 어려운데요. 우리나라의 저작권법을 살펴보면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우리나라 저작권법 제35조의 3 제1항의 내용입니다.
즉, 나의 동영상에 부가적인 재미 요소로 움짤을 넣는 것은 공정 사용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튜브도 Tenor도 책임지거나 판단할 수 있는 주체가 아닌만큼 움짤 활용을 위해서는 유튜브의 공정 사용 가이드와 Tenor의 라이선스 규약을 살펴보시길 권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