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pdates] 파일 편집 도구 추가 (역재생, 배경제거, 화질개선)
사용자가 업로드한 미디어 파일에 대한 AI 편집 도구가 추가되었습니다. 업로드한 파일 자체를 수정하기 때문에 이미 프로젝트 곳곳에 삽입되어 있다면 모두 일괄적으로 변경되게 됩니다.라이브러리에서 편집을 원하는 파일 위에 마우스 우클릭 > 설정 > 파일 편집 도구 순서로 메뉴를 ...
Junwoo
2025-07-29
🎓
메이크닷컴에 비디오스튜 API를 사용한 동영상 생성 자동화 프로세스 만들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메이크와 비디오스튜 API를 활용해서 동영상 자동 생성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과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시작하며먼저 알려드릴 점은 이 포스팅에서는 메이크의 전반적인 사용방법은 다루지 않습니다. 메이크에서 어떤 식으로 소재를 발굴하고, 가공하는지는 유저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Junwoo
2025-07-22
🗞️
[Update] 감정 조절이 가능한 AI 보이스 추가 안내
‘일반’, ‘기쁨’, ‘슬픔’, ‘화남’, ‘차분한’의 총 다섯 가지 감정 표현이 가능한 AI 보이스가 추가되었습니다.목소리 선택 시에 직접 들어보고 사용하거나 편집화면에서도 곧장 변경할 수 있습니다.현재까지 약 30종의 노인, 아이를 포함한 AI보이스가 추가되었으며 향후 30종 더 추...
Junwoo
2025-07-17
🗞️
[Update] 한 프로젝트에 BGM 여러 개 넣기
프로젝트별로 한 개의 배경음악만 적용되던 것에서, 부분적으로 다른 음악을 설정할 수 있도록 기능이 개선되었습니다.기존과 동일하게 [글로벌 BGM]은 프로젝트별로 한 가지를 적용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재생되는 음악입니다.하지만 하이트라이트 부분 등 특별한 상황에 다른 음악을 넣고 싶으...
Junwoo
2025-07-11
🤔
유튜브 7월 15일 YPP 정책 업데이트, 그리고 내가 느낀 세 가지 메시지
크리에이터들이 패닉에 빠졌다지난 주부터 커뮤니티 등을 중심으로 7월 15일이면 “AI 영상은 다 막힌다”, “이제 내 목소리를 직접 넣지 않으면 광고 수익이 끊긴다”와 같은 글을이 쏟아지고 있습니다.이번 정책 업데이트의 핵심은 대량 생산, 반복 사용되는 콘텐츠들에 대한 검출을 강화하기 ...
Junwoo
2025-07-10
🎓
비디오스튜 크리에이터들이 자주쓰는 기능 총정리
비디오스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크리에이터들은 비디오스튜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을까요?비디오스튜 활용사례를 통해 만나게 된 다양한 크리에이터분들의 실제 사용기를 들어보며 네 가지 핵심 기능을 도출할 수 있었는데요.이번 포스팅에서는 비디오스튜로 극적인 효율성, 생산성을 느끼고 싶다면 꼭 아...
Junwoo
2025-06-24
📣
비디오스튜 팀원들은 모두 다 아는 50만 크리에이터 고객님의 유튜브 성장기
비디오스튜는 사람이 직접 상담드리는 온라인 채팅 상담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저희 팀원들끼리 이야기를 할 때 가장 기억에 남는 고객님을 뽑으라면 닉네임 ‘데헷이’님이 항상 언급되는데요.사실 무슨 채널을 운영하시는지 어떻게 하시는지는 전혀 몰랐고, 항상 빡센 기능 제안을 하시는 것으로 유명...
Junwoo
2025-06-16
🎓
2025년형 Best AI Tools for Content Creation (실전 활용 가이드)
왜 지금 “AI 툴 스택”을 다시 짜야 할까?전통적으로 운영하는 블로그 및 뉴스레터부터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 틱톡의 동영상 소셜 미디어… 심지어 X와 쓰레드까지 반드시 돌아가야 할 채널은 늘어났지만, 예산과 인력은 그대로죠.하지만 그 때 한 줄기 빛처럼 각종 AI 솔루션들이 ...
Junwoo
2025-06-11
비디오스튜에 움짤 라이브러리가 추가되었습니다.
비디오스튜에 세계 최대 규모의 GIF 라이브러리인 Tenor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Tenor에는 밈(meme)이라 불리우는 움짤부터 움직이는 스티커 이미지를 제공합니다. 전체 볼륨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Tenor에 따르면 하루에 십억개 이상의 GIF 파일이 공유된다고 하니 어마어마한 양이죠.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윌 스미스와 크리스 락의 유혈사태(?)를 풍자한 밈(meme)>
GIF 이미지를 우리는 왜 움짤이라고 부를까요?
이 인터넷 용어의 기원은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인데요. 디지털 카메라 전문 커뮤니티였던 만큼, 게시글에 사진이 없으면 운영자에 의해 글이 삭제되곤 했습니다. 그래서 유저들은 ‘짤림을 방지'하는 목적의 짤방 이미지들을 올리기 시작했죠. 이것이 짤방 문화의 시작입니다. 그러다 GIF 이미지는 ‘움직이는 짤방'이라고 불리며 지금 ‘움짤'이란 단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움짤 이미지와 움직이는 스티커 이미지를 제공합니다!
움짤 이미지는 배경까지 꽉 차있는 일반적인 이미지 형태입니다. 비디오스튜 ‘이미지 > Tenor Gif’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동영상을 제작하시면서 장면 전환이나, 드립이 필요한 순간에 효과음과 함께 쓰시면 좋습니다.
동영상을 제작하실 때는 Giphy 스티커 이미지의 활용도가 아주 높은데요. 비디오스튜 ‘이미지 > Tenor Sticker’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배경이 투명한 움직이는 스티커 이미지들만 있기 때문에 원하는 느낌을 찾아서 동영상 위에 삽입하면 좋습니다. 아래 예시는 ‘사랑'으로 검색했을 때의 예시입니다. 스크롤의 끝이 어딘지는 누구도 알 수 없습니다.
<끝이없는 움짤 스티커 라이브러리>
움짤을 잘 활용하려면 공정 사용(Fair use)을 이해해야 합니다.
우리가 보는 많은 유튜브 채널들은 다양한 움짤들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움짤은 저작권에서 자유로운 걸까요? 혹은 그들은 모두 저작권자에게 일일이 허락을 받았을까요?
결론적으로 아닙니다. 공정 사용(Fair use)이란 개인이 판단할 수 없으며 사법부에서 판단하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누군가가 “나는 공정 이용했다!”라고 주장하더라도 법원에서 그렇게 판단하지 않는다면 저작권을 위반한 것이죠.
유튜브의 공정 사용 관련 가이드를 살펴보면, 원본에 새로운 표현이나 의미를 추가했다면 공정 사용으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말이 좀 어려운데요. 우리나라의 저작권법을 살펴보면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우리나라 저작권법 제35조의 3 제1항의 내용입니다.
즉, 나의 동영상에 부가적인 재미 요소로 움짤을 넣는 것은 공정 사용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튜브도 Tenor도 책임지거나 판단할 수 있는 주체가 아닌만큼 움짤 활용을 위해서는 유튜브의 공정 사용 가이드와 Tenor의 라이선스 규약을 살펴보시길 권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