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화면에서는 프로젝트를 관리에 필요한 기능이나 미리보기, 내용 구성을 위한 슬라이드/요소들을 관리하기 위하여 기능들을 구성해놓았어요.
새로운 프로젝트가 시작되면, 편집 화면에 진입하자마자 위자드창 뜹니다. 여기에서 기본적으로 제목을 설정할 수 있고, "다음"을 눌러 계속진행하면 보다 손쉽게 컨텐츠 제작을 시작할 수 있게 돼요. 위자드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위자드 모드로 간편하게 시작를 참고하세요.
본문에 직접 입력할 때는 최대 5,000자의 글을 넣을 수 있습니다. 또한 외부의 글을 복사 붙여넣기하거나 블로그 등의 URL로 시작할 때에는 최대 20,000자의 글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그 뒤에 "글 다듬기" 기능을 이용하면 원하시는 영상 포맷에 따라 AI가 글을 재구성합니다.
숏폼은 최대한 60초의 길이에 맞출 수 있도록 글을 재구성합니다. 하지만 입력되는 내용의 자연스러움 및 완결성을 위해 60초를 초과할 수도 있습니다.
글다듬기 기능을 이용할 때는 자동적으로 소제목에 해당하는 내용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직접 텍스트 에디터에 대본을 입력할 때는 "#" 태그를 이용하시면 자동적으로 소제목 슬라이드로 변환됩니다. (꼭, "#" 뒤에 한 칸을 띄어주셔야 합니다.)
편집 상단에는 프로젝트에 관한 전반적인 관리를 위한 도구들이 모여있어요.
작업을 멈추고 홈화면으로 돌아갑니다. 아직 저장되지 않은 내용이 있으면, 안내창이 나옵니다. 이럴 때에는 [취소] 후 저장 버튼을 누르면 작업내역이 모두 서버에 저장돼요.
프로젝트의 제목과 설명을 설정할 수 있어요. 설명란에 URL을 넣으면 공유하기 시에 링크로 활용할 수 있답니다.
< 프로젝트 정보 편집 >
또한 여러분이 작성한 내용에 따라 자동으로 제목 그리고 텍스트 설명란의 요약글을 작성해줍니다. 텍스트 설명란의 경우 SEO를 고려해 해시태그까지 최대 3개가 추가되요.
현재 선택된 슬라이드에 대해서 미리보기를 할 수 있어요. 여러 슬라이드를 선택하면 해당 구간만 재생해볼 수 있어요. 우측 설정(▼)버튼을 누르면 [전체 미리보기]를 할 수 있어요.
작업 중인 프로젝트 내용을 서버에 저장해요. 사용자가 작업 중간에 임의로 누르지 않아도 수정사항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서버에 저장되어요. 사용자에 따라 직접 주기적으로 저장을 누르지 않으면 불안하신 분들을 위해 수동 저장도 제공하는 것입니다.
단축키 : Ctrl
+ S
작업을 마친 프로젝트를 파일로 렌더링할 수 있어요.
먼저 "렌더링" 버튼을 누르면 렌더링 요청이 들어갑니다. 렌더링 요청이란 내가 만든 프로젝트를 동영상 파일로 변환해주는 과정을 말해요. 잠시 뒤 파일이 추가되면 다운로드 버튼이 활성화되며, 버튼을 눌러 MP4 파일을 컴퓨터로 다운로드할 수 있어요.
모든 슬라이드를 이미지 파일로 각각 저장해요. 동영상이 아닌 카드뉴스 형식의 결과물을 다운로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어요.
프로젝트에 사용된 모든 텍스트를 문서 형태로 다운로드할 수 있어요. 작업 중간에 내용이 많이 변했다면 다시 텍스트의 형태로 저장할 때 활용하면 좋아요.
또한 우측의 설정(▼) 버튼을 눌러 SRT 및 webVTT 형식의 자막 파일 포맷으로 다운로드할 수 도 있습니다.
구분 | 상세 설명 |
---|---|
슬라이드 단위 | 프로젝트 상 슬라이드 내 전체 텍스트를 기준으로 자막파일을 추가 |
적용 단위 | 슬라이드 내 텍스트 줄바꿈이 적용된 경우 줄바꿈 단위로 타임라인 정보를 포함한 자막 파일 추가 |
동영상이 렌더링된 프로젝트를 웹에 공유할 수 있어요. 주소를 복사해 카카오톡 등의 메신저에 붙여넣을 수 있으며, [새 탭으로 열기]하여 렌더링된 동영상을 살펴볼 수 있어요.
만약 프로젝트의 설명란에 링크를 넣었다면 링크 주소의 클릭이 가능해 CTA 버튼의 대용으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유 기능은 영상 렌더링 후 한 달간만 유효하며, 한 달 뒤에는 보관된 영상이 삭제됩니다. 따라서 비디오스튜에서 렌더링하신 동영상 파일은 기간 내에 꼭 다운받아주세요.
현재 프로젝트를 새롭게 복제하여 원하는 워크스페이스에서 작업을 시작해요. 모든 작업내역이 그대로 남아있는 복제본을 만든다고 이해할 수 있어요.
프로젝트를 과거 시점으로 되돌릴 수 있어요. 리스트에서 "저장 시각" 및 "슬라이드 수" 등을 참고하여 "복원하기"를 통해 과거 시점의 프로젝트를 다시 불러옵니다.
지금 작업 중인 프로젝트를 현재 이용하고 있는 워크스페이스에 그대로 복제합니다.
현재 프로젝트를 삭제해요. 휴지통으로 이동된 프로젝트는 [휴지통 비우기] 전까지 완전 삭제되진 않아요.
다크모드 및 썸네일 형식, 위자드모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편집화면 > 우측상단 '더보기' > 환경설정 > 공통
< 환경 설정 공통 메뉴 >
다크모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자동"은 밤 시간대에는 검은 화면 낮 시간대에는 밝은 화면으로 자동 변경됩니다. 항상 "밝게" 혹은 "어둡게" 설정하실 수도 있어요.
렌더링된 영상을 다운로드할 때의 방식을 변경합니다. 기본 방식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레거시 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홈 화면에서 보이는 썸네일의 형식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가로형", "정사각형", "세로형" 중에서 고를 수 있으며, 숏폼 동영상을 자주 만드신다면 "세로형"을 추천드려요.
"새로 만들기" 시에 위자드 모드를 활성화할지 여부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러리 패널에서는 비디오스튜에서 제공하는 스톡 동영상, 이미지 등을 검색하고 스테이지에 불러올 수 있어요. 비디오, 이미지, 도형, 글꼴로 구성되며 모든 요소는 "최근", "즐겨찾기", "사용자", "스톡" 탭으로 구분되어 있어요.
최근에 사용된 요소들의 리스트입니다.
자주 쓰는 요소들은 즐겨찾기에 저장할 수 있으며, 즐겨찾기 리스트에 추가되어요. 요소 위에 마우스를 올린 뒤 설정(▼) 버튼을 눌러 [즐겨찾기 추가]을 할 수 있어요.
<업로드 형태에 따른 분류>
유저가 직접 업로드한 요소들의 라이브러리입니다. 이미지나 동영상 파일을 탐색기에서 화면으로 드래그하여 추가하거나 업로드 버튼을 눌러 추가할 수 있어요. (파일을 라이브러리 창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면 스테이지에는 들어가지 않고, 리스트에만 추가되어요.)
또한 사용자 탭은 카테고리 분류를 통해서 좀더 쉽게 업로드한 리소스들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구분 | 설명 |
---|---|
전체 | 모든 사용자 업로드 리소스를 보여줍니다 |
업로드 | 업로드 버튼을 눌러 올린 리소스만을 보여줍니다 |
붙여넣기 | 웹에서 복사&붙여넣기를 한 이미지들만 보여줍니다 |
드래그앤드롭 | 컴퓨터의 파일탐색기에서 드래그 앤 드롭으로 업로드한 요소들만 보여줍니다 |
위 구분을 활용하면 좀더 파일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주 쓸법한 리소스는 무조건 "업로드" 버튼을 통해 추가하거나 하는 스스로의 규칙을 정하는 것입니다.
하나의 리소스 위에 마우스를 올려두면 설정버튼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여러개 선택하기"를 누르고 SHIFT
키를 통해 범위를 지정하여 한번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 뒤 상단의 휴지통 아이콘을 통해 삭제를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다만, 이미 다른 프로젝트에 사용된 리소스라면 그 프로젝트를 다시 편집하고자 하실 때 요소들이 제대로 로딩되지 않으니 주의해주세요.
비디오스튜에서 제공하는 스톡 라이브러리입니다. 각 요소별로 카테고리를 통해 검색엔진을 변경할 수 있으며 엔진별로 검색결과가 상이해요.
자동 비주얼로 추가된 비주얼 요소(이미지 및 동영상)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입력하신 내용을 기반으로 다른 추천 스톡 이미지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 텍스트 기반으로 어울리는 영상 및 이미지 찾기 >
또한 우측의 설정(▼)버튼을 눌러 "비주얼 기반으로 검색"을 하실 수도 있습니다. 이 기능은 현재 슬라이드에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와 유사한 스톡 리소스를 검색합니다.
라이브러리 창 중 이미지 탭에는 AI 이미지를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 슬라이드별로 입력되어 있는 내용을 기반으로, 실사형 이미지를 추가하는 AI Photo와 디지털 아트 스타일의 AI Illustration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스톡 이미지 카테고리 중 AI 이미지 선택하기 >
카테고리는 기본적으로 Pexels나 Pixabay의 스톡 라이브러리가 선택되어 있습니다. 카테고리 검색 버튼을 클릭하여 AI Photos나 AI Illustrations를 선택합니다.
< 공개 AI 이미지 추가 창 >
+ 추가
버튼을 누르면 AI 이미지를 추가하기 위한 모달 창이 나타납니다. 기본적으로 슬라이드 내에 입력한 자막 텍스트가 있다면, 해당 텍스트를 가져오게 됩니다.
추가되는 이미지의 사이즈는 정방형, 가로형, 세로형 중 선택할 수 있으며 기본값은 정방형입니다. (정방형으로 추가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비디오스튜의 AI 이미지 추가 기능은 프롬프트를 몰라도 모두가 쉽게 이용하실 수 있도록 제공됩니다. 일반적으로 여러분이 만드시는 콘텐츠에 들어가는 자막은 이미지에 대한 묘사와는 거리가 있기 마련인데요. 최적의 품질의 이미지 추가을 위해 자체적으로 프롬프트를 추가하고 고도화하기 때문에 높은 품질의 AI 이미지 추가이 가능합니다.
< AI 이미지 라이브러리 검색하기 >
비디오스튜 유저들이 추가한 모든 AI 이미지는 검색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공개 라이브러리에 저장됩니다. 검색어를 입력하면 이미 추가된 AI 이미지들이 리스트에 나타나며, 라이브러리에서 드래그 앤 드롭하여 슬라이드에 삽입할 수 있습니다.
비디오스튜에서 추가되는 AI 이미지에 대한 저작권은 AI 이미지 저작권 가이드 문서에서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비슷한 스타일로 재추가하기 >
공개 AI 이미지 라이브러리 중 마음에 드는 이미지가 있다면 “마우스 우클릭 > 비슷한 스타일 만들기” 버튼을 눌러 비슷한 이미지를 재추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텍스트를 입력창에 추가하고자 하는 묘사를 간단히 적어, 좀더 여러분이 생각하시는 상황을 묘사하는 이미지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요소들에 관한 선택 및 위치 조정을 수행하는 영역이예요.
방금 수행한 작업을 취소하거나, 다시 되돌리는 기능입니다.
현재 편집창의 보여지는 사이즈를 변경해요! 작게 주여서 전체적인 모습을 볼 수 있고, 특정 요소들을 세밀하게 변경할 때에는 확대해서 상세하게 조작할 수 있어요. 확대/축소의 단축키 Ctrl
++/-
로 변경이 가능해요.
슬라이드의 사이즈로 내부 요소들을 표시해주는 공간이예요. 슬라이드 속성에 관한 바로가기 버튼과 관리를 위한 드롭다운(▼)가 있어요. 내부 요소를 제어하는 방법은 [요소 조작]에 상세히 정리했어요.
슬라이드의 기본 재생시간은 3초이며, 클릭하여 재생시간을 변경할 수 있어요.
재생시간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재생 시간/전환 효과] 가이드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슬라이드에 AI보이스를 적용하거나, 목소리를 녹음할 수 있어요.
슬라이드가 등장할 때 나오는 효과음을 설정할 수 있어요.
프로젝트 전체에 걸쳐 재생되는 BGM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 슬라이드에서 일시적으로 볼륨을 변경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중요한 내용이 등장하거나, 영상 내 삽입된 비디오의 볼륨를 그대로 들려줘야 할 때 일시적으로 볼륨를 음소거 시킬 수 있어요.
라이브러리 패널의 모든 요소들을 드래그 앤 드롭이나 클릭하여 적용할 수 있어요. 이 영역이 동영상으로 렌더링될 때 보여지는 영역입니다.
프로젝트 전체에 걸쳐 재생되는 BGM을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어요.
작업물의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어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사이즈 외에도 "사용자" 탭을 통해 직접 원하는 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어요.
속성 패널은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자체에 대한 속성을 편집할 수 있으며, 텍스트나 이미지의 요소를 선택하면 요소에 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어요.
"추가" 버튼을 눌러 계속 새로운 슬라이드를 추가하며 동영상을 만들어 나갈 수 있어요. 여러 장의 슬라이드를 한번에 편집하기 위해서 shift 키와 함께 여러 개의 슬라이드를 선택하신 뒤 편집을 할 수도 있어요.
작업 중간에 궁금한 내용이 있으신가요? 실시간 채팅으로 질문해주세요. 고객 동의 후 작업 중이신 프로젝트를 열람하면서 궁금증을 속시원하게 해결해드려요.